본문 바로가기
색채학

색의 연상과 상징

by 더_나은_날 2022. 6. 21.

색에서 무엇을 연상하는가

연상이란 어떤 것을 보거나 듣거나 생각하는 행위를 통해 그것과 연관이 있는 사건이나 경험을 떠올리는 일이다. 예를 들어, 빨간색을 보고 "저녁놀"이 생각났다고 하면 일반적으로 머릿속에 떠오르는 생각은 단순히 "저녁놀"에서 멈추지 않고, "저녁놀 - 하와이 - 즐거운 추억" 등과 같이 이미지들이 연결되고 확장되어 간다. 이렇듯 연상에는 어떤 관념으로부터 다른 관념을 끌어내는 측면이 있어 연상은 관념연합이라고도 한다. 연상은 기본적으로 개인이 의식하고 있는 지식, 경험, 사상, 희망 또는 기분과 같은 내면적인 요인에 근거하기 때문에, 연상에 의해 발생하는 이미지는 개인마다 제각각 다르다. 다만 개인이라 할지라도 인간은 지역이나 학교 또는 기업과 같은 여러 가지 사회적 집단에 소속되어 그 안에서 생활 경험을 공유하고 있기 떄문에, 집단을 연령, 성별, 직업과 같은 공통점들로 묶으면 연상의 내용에도 일정한 질서가 보이는 것을 쉽게 생각할 수 있다. 또 연상은 개인이 삭고 있는 시대 배경에 따라서도 좌우된다. 귀속되는 집단은 크게 국가, 민족, 역사, 풍토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집단마다 특징적인 연상이 존재한다. 나아가 그 상위개념으로는 인간이라고 하는 큰 공통점도 생각할 수 있다. 즉, 연상에는 생리학적인 인간의 영위 과정으로써 많은 사람에게 공통되는 연상도 있는 한편, 귀속되는 집단 고유의 생활 경험에서 기인하는 연상도 있는 것이다. 연상을 일으키는 자극에는 소리나 형태, 색 등이 있다. 색의 연상조사는 구체적인 색견본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와 색견본에 의존하지 않고 색명을 통해 연상을 유도하는 경우가 있다. 실생활에서 색은 그 자체로는 형태를 갖지 않고 여러 구체적인 형태의 속성을 동반하여 함께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색의 연상은 구체성을 띠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색의 연상은 항상 구체적인 이미지에만 국한되지 않고, "기쁨"이나 "고독"과 같은 추상적인 심리, 정서적 반응에까지 그 영향을 미친다. 색에는 형태를 넘어서 인간의 감성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색의 연상에는 예를 들어, "빨강"과 "태양", "초록"과 "나뭇잎"과 같이 현실의 사물에 이어지는 구체적 연상과 함께 "빨강"과 "정열", "초록"과 "평화"와 같은 정신적 개념으로 이어지는 추상적 연상도 있다. 추상적 연상에는 이 외에도 희로애락, 유쾌 불쾌와 같은 감정적 개념, 한난감, 경중감 같은 감각적 개념, 그리고 남성적, 이국적 등과 같은 사회적, 문화적 개념이 있다. 색에는 이처럼 추상적 개념으로도 쉽게 연결되는 성질이 있다. 이것을 "색의 상징성"이라고 한다. 또한 추상적 개념과 연관된 색의 연상어를 "색의 상징어"라고 한다. 1가지 색의 구체적 연상과 추상적 연상의 비율을 비교해 보면, 붉은색 계통에서는 대략 7대4의 비율로 나타난다고 한다 (일본색채연구소 조사). 일반적으로는 추상적 연상보다 구체적 연상 쪽이 많고, 중간색보다 빨강, 파랑, 희색, 검정과 같은 명확한 색의 연상어가 많은 경향을 보인다. 그렇지만 특정 자극에 의해 연상할 수 있는 단어 수는 한 사람당 경우 10개 내외라고 한다. 이는 색견본에 의한 조사든 언어조사에 의한 것이든 그 결과는 크게 다르지 않다. 또 유채색은 구체적인 연상으로, 무채색은 추상적인 연상으로 연결되기가 쉽다고 한다. 단, 조사 대상자의 연령을 고려해보면, 추상적 사고의 수준이 덜 발달한 유소년층의 경우 연상에서 주변의 동식물이나 가족과 관련한 구체적인 사례를 드는 경향이 강하다. 당연한 현상이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문화나 사회적인 사상을 포함하는 추상적 연상으로 연상의 범위가 확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색이 상징하는 것

상징이란,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 관념이나 현상을 형태나 색을 가진 다른 것으로 직감적으로 알기 쉽게 치환하여 나타내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색의 상징은 색의 연상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연상 이미지가 많은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짐으로써 사회 속에서 고착되어 색의 상징(Color Symbolism)이 된다. 색의 상징은 언어를 통하지 않는 커뮤니케이션에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언어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이 발달되지 않았던 시대에는 색의 상징성이 언어를 대신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것은 세계의 종교, 전통, 고대사상이나 미신 속에 잘 나타나고 있다. 중국이 고대철학에는 오행 사상이라는 것이 있다. 일본의 아스카, 나라 시대는 정치, 종교, 사상, 사회생활의 모든 면에서 중국의 영향을 크게 받던 시대였는데, 이때 중국에서 전래한 것이 오행사상이었다. 오행은 나무, 불, 흙, 쇠, 물을 가리키며 지구상에서 일어나는 사건은 자연현상이든 사람과 관계된 일이든 모든 것이 이 5가지 요소의 작용과 순환, 즉 "행"에 의해서 설명된다. 오행의 순환은 나무를 기점으로 하여 나무-불-흙-쇠-물을 지나 다시 나무로 돌아온다. 5가지 요소에는 각각 상징으로서의 색이 주어져 있을 뿐 아니라 방위, 계절, 시각, 덕목 등이 배당되어 있다. 쇼토쿠 태자가 제정한 관위12계(603년)는 관직의 지위를 관(冠 직책별로 머리에 쓰는 관-역주)의 색으로 정해 놓은 것이다. 최고 관직을 나타내는 '덕(德)'은 보라색이었으나, 그 아래에 해당하는 관직인 인,예,신,의,지는 오행의 순서에 따라 파랑, 빨강, 노랑, 흰색, 검정으로 정해져 있었다. 방위에서 나무는 동쪽, 불은 남쪽, 흙은 중앙이며, 쇠는 서쪽, 물은 북쪽이 되고 각 방위에는 각각 중앙을 지키는 신수, 즉 청룡(동), 주작(남), 백호(서), 현무(북)가 배치된다. 방위와 색을 대응시킨 예는 다른 곳에도 있다. 인도에서는 동쪽을 흰색, 서쪽은 검정, 남쪽은 노랑, 북쪽은 빨강이다. 미국의 인디언 나마호족에서는 동쪽이 흰색(대낮), 서쪽이 노랑(황혼), 북쪽이 검정(밤), 남쪽이 파랑(새벽)을 상징한다. 옛날의 아일랜드는 북쪽이 검정, 남쪽이 흰색, 동쪽이 보라색이고 서쪽은 갈색이 들어간 회색을 의미했다. 유럽에서는 중세 이후에 기사의 전통으로, 소속집단이나 지위를 어깨의 문장과 색으로 나타내는 것이 유행하였다. 13세기 중엽에는 문장에 사용되는 금속, 색, 모피가 엄격하게 규정되어 금속은 금과 은을, 색은 파랑, 빨강, 검정, 초록, 보라의 5가지 색을 사용하도록 했다. 문장학(紋章學)에서는 금은 명예와 충성, 은은 신의와 결백, 파랑은 공경과 겸허 그리고 성실, 빨강은 용기와 희생, 초록은 젊음, 성장과 풍요로움, 검정은 슬픔과 후회, 보라는 충성과 높은 신분을 각각 상징한다. 깃발의 인(印)에도 이러한 문장학의 전통이 계승되어, 유럽의 "색"에 이 같은 배경이 반영되고 있다. 기독교의 종교화에서도 색의 상징성이 넘치는 분야다. 특히 기독교 사회는 그리스정교에 의해 8세기 무렵부터 이콘(icon)에 의한 슬라브 사회로의 포교를 꾀하였다. 이콘에는 그리스도나 마리아 또는 성인들의 상(像)을 정해진 스타일과 상징적인 색을 따라 그리도록 했다. 르네상스 시대에도 많은 화가들이 성모자상을 그렸지만, 성모마리아의 겉옷은 이콘의 전통에 근거한 파란색으로 채색하는 경우가 많았다. 파랑은 천국과 진실의 상징으로, 악마를 물리치는 색이기도 했다. 또 빨강은 십자가에서 흘린 그리스도의 피, 즉 수난의 상징이며 가톨릭 교회에서는 자비와 동포애의 상징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그리스도의 옷차림은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린 '최후의 만찬'에서 볼 수 있듯이 빨강으로 채색된다. 위와 같이 색의 상징성에는 언어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공간 감각이나 사회적, 종교적 규범과 같은 추상적 개념을 색으로 투영시키는 특징이 있다.

'색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이 심리와 접목될 때  (0) 2022.06.21
색의 3속성이 나타내는 심리적 효과  (0) 2022.06.21
색의 심리적 효과  (0) 2022.06.21
색의 물리적 심리적 세계  (0) 2022.06.21
색의 성질  (0) 2022.06.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