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색채
색채에는 크게 정서성과 식별성이라는 두 가지 특징이 있다. 이 두 가지 특징은 문자나 사진이 정보를 전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성질을 갖고 있다. 상업적인 의미에서 색채를 활용하는 경우로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① 주목을 끌어 대상물의 존재감을 높이는 효과
주로 다른 것과의 차이를 강조해서 상품을 눈에 띄게 하는 효과가 있다. 간판류나 광고, 식품 패키지 등에서는 특히 중요시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목성이 높은 고채도의 색이 많이 사용되는데, 눈에 띄는 색이지만 어디까지나 주위의 색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에 따라 좌우된다. 식품 패키지는 같은 종류의 상품이 한 곳에 모여 대량으로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고채도의 색이 반드시 눈에 띈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장소에서 주위 제품과의 색상 차이 정도를 고려해서 표현하는 것이 보통이다.
② 대상물의 의미, 사상을 통합해서 타인에게 알리는 효과
패션과 인테리어 상품 등 상품분야가 다를지라도 배색이나 브랜드 컬러를 통일하는 것으로 그 기업이나 브랜드 상품군이라는 것을 쉽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소재나 형태가 달라도 색채를 통일함으로써 서로의 조화를 쉽게 도모할 수 있다. 이 색채의 시각적 효과는 기업의 철학이나 사상을 나타내는 CI (Corporate Identity)컬러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③ 적은 비용으로 상품의 신규성을 어필하는 효과
소재나 형태를 변경하는 것은 그에 따른 소재의 준비나 형태를 형성하는 틀(금형)이라든지, 때에 따라서는 공장의 제조라인 변경 등을 수반하는 경우가 있어서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 그에 비해 색채 변경은 그다지 비용이 들지 않으므로, 신규성이나 변경을 어필하기에 아주 좋은 수단이 된다.
④ 대상물의 감각적 소구력을 통제하는 효과
소재나 형태가 완전히 같은 상품일지라도 색채와 그 배색을 바꾸는 조작만으로도 상품 이미지가크게 변한다. 예를 들면, 베이지와 흰색이 배색된 상품을 검정과 빨강으로 바꾸는 것만으로도 약하고 정적인 이미지에서 강하고 동적인 이미지로 다이나믹하게 변한다. 이처럼 색채의 정서성은 대상물의 이미지 형성을 크게 좌우해서, 구매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정도의 힘을 발휘한다. 또한 소비자의 성향에 맞춰 일정 고객층이 선호하는 이미지의 색채를 구현함으로써 대상 고객층을 한정할 수도 있다.
⑤ 유행형성 효과
생활 속에는 특정 시대 풍조에서 나타나는 가치관에 기초한 '선호 이미지'가 존재한다. 색채는 정서성이 강하므로 그 색과 시대가 선호하는 이미지가 적절히 일치하면 상품에서 유행색이 탄생되는 경우가 많다. 1962년 셔벗 톤(sherbet tone)-셔벗과 같은 연한 색상-의 유행은 식품, 의류, 화장품, 가전, 자동차, 인테리어 제품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또한 1987년에는 검정색의 유행이 최고조에 달해 이때도 그 영향은 패션, 인테리어, 가전, 가구, 자동차 등에까지 미쳤다. 색채에는 이런 강한 유행 형성 능력이 있다. 이런 색채 효과를 고려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색채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색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빛의 물리적 본질 (0) | 2023.05.05 |
---|---|
색채과학의 역사적 전개 (0) | 2023.05.04 |
색채의 정서성과 식별성 (0) | 2023.05.02 |
현대 일본의 상품색채 변천 4 (0) | 2022.07.08 |
현대 일본의 상품색채 변천 3 (0) | 2022.07.08 |
댓글